반응형

2014년 4월15일 오후9시 세월호가 인천에서 제주도를 향해 출발했습니다. 원래 출발시각은 오후 6시30분이었지만 악천후로 출발이 늦춰졌습니다. 탑승자는 제주도 수학여행을 떠나는 경기도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 325명을 포함해 교사 14명, 일반 탑승객 73명, 화물기사 31명, 승무원 33명 등 모두 476명이었습니다.

4월16일 오전8시49분 전남 진도군 앞바다인 조류가 거센 맹골수도 부근에서 세월호는 급격하게 변침을 했고, 배는 곧 중심을 잃고 기울어져 표류하기 시작했습니다. 오전 8시52분 단원고 학생이 119에 구조요청 신고를 했습니다.

배는 침몰하고 있었지만 선내에서는 "이동하지 말라"는 방송이 흘러나왔고, 오전 9시34분 해경 함정 123정이 도착했습니다. 기관부 선원 7명이 승객을 버리고 탈출해 구조됐고 조타실 선원들도 뒤따라 탈출했습니다. 침몰전까지 172명이 구조됐지만, 10시30분께 침몰한 이후 단 1명도 구조되지 못했고, 2018년 11월기준 희생자는 299명, 실종자는 5명입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대부분의 언론은 '전원구조'라는 오보를 냈고, 해경 등 구조당국은 구조를 제대로 하지않아 피해자를 비롯한 국민들의 불신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승객들을 버리고 탈출한 이준석 선장 등 세월호 선원 15명에 대해 살인, 살인미수, 업무상 과실 선박매몰, 선원법 위반 등의 혐의로 처벌하였으나 구조, 구난 등의 책임자는 123정장 1명만 처벌하는데 그쳤습니다.

검찰의 수사, 감사원 감사, 세월호 특조위, 세월호 선조위 등의 조사가 있었으나 여전히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미진한 상태고, 세월호 인양작업도 당초 2016년 7월까지 완료하려 했지만, 2017년 봄 4월11일에야 인양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세월호 침몰 원인과 정부대응의 실패이유 규명, 인양과정 적정성 및 책임자 처벌 등이 주요과제로 남아있어 여전히 해결해야 할 일입니다.

▼4.16 세월호참사 특조위, 세월호 CCTV 조사 중간 발표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3월28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세월호 CCTV 조사 중간 발표' 기자간담회를 갖고 세월호의 디지털영상저장장치(DVR)가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즉, 해군이 입수한 세월호 DVR과 해경이 마대자루에 보관하다 검찰에 넘긴 세월호 DVR이 다르다는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세월호 선내에 설치된 64대의 CCTV 영상이 저장된 녹화장치로 그간 참사 당시 상황을 알수 있는 주요한 증거물로 꼽힌다.


▼세월호 DVR 조작 의혹 조사 배경
세월호 특조위는 DVR에 대한 각종 조작 의혹이 제기된것은 2014년 8월 검찰이 DVR을 복원한 결과, ➊참사 발생 3분 전인 오전 8시46분까지의 영상만 존재해 침몰원인 및 선내 구조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이 없었다.

하지만 일부 생존자와 세월호 직원 등은 세월호가 기울어져가던 ➋오전 9시30분까지 3층 안내데스크에서 CCTV 영상을 보았다고 증언했으며 해경은 선박사고 조사의 기초증거임에도 ➌참사 2개월 후에야 CCTV DVR 수거했다는 점과 ➍DVR 수거경위에 있어 해군과 해경 관계자들의 진술이 객관적 정황과 부합하지 않고, 수거 직후 해경 및 해군 관계자들이 보인 태도 등에 비춰 DVR 조작, 은폐 의혹을 가중시켰다.


▼세월호 특조위 조사 내용, 세월호 CCTV 녹화장치 DVR 조작 의혹 제기

▶해군이 2014년 6월22일 세월호 선내 안내데스크에서 수거했다고 주장해 온 DVR과 해경이 마대자루에 보관하다 나중에 검찰에 넘긴 DVR(세월호 DVR)이 다른것으로 의심되는 단서를 발견했다.

해군 A중사 DVR 수거 과정 주장이 사실로 보기 어려운 정황이 존재한다.
선체 인양 후 잔존물 확인 결과 DVR 수거를 담당한 A중사는 2014년 6월22일 23:20경 안내데스크에서 DVR을 확인하고 그 본체를 케이블 커넥터의 나사를 푸는 방법으로 케이블 커넥터가 달린 케이블선들과 분리하여 수거하였다고 진술했다. 그에 따르면 DVR 설치구역에 70여개의 케이블 선과 그에 연결된 5개의 커넥터가 발견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월호 선체 인양 후 해당 구역 및 해당 구역에 대한 2017년 6월 안내데스크 부근 뻘 제거 작업을 찍은 CCTV 영상을 확인한 결과, 케이블선만 발견되었고, 커넥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수중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DVR
해군 A중사는 선내 안내데스크에서 DVR을 확인하고 케이블선 분리 및 수거작업을 하였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당시 ①2014년 6월22일 세월호 안내데스크에서 우현 현측까지의 수중 영상(8분25초), ② 2014년 6월24일 해군이 유가족 대상으로 수중영상 원본(34분 54초)을 보면서 DVR 수거과정을 설명하는 영상(24분51초) 수중영상을 확인한 결과, 분리 및 수거작업을 하는 과정이나 안내데스크에서 우현 현측까지 DVR을 들고 나오는 과정에서 DVR이 영상에 한번도 나타나지 않는다.

DVR을 세월호 우현 현측 외판에 올려놓은 영상도 없다.
A중사는 DVR이 너무 무거워서 왼손으로 엄브리컬 공기 공급과 통신 및 수심확인을 위한 연결 호스을 잡고 오른손으로 DVR을 쥔 상태에서 세월호 선체 밖에 대기중이던 B하사가 엄브리컬을 당기는 방법으로 수직상승하여 세월호 밖으로 나왔고, DVR을 우현 현측 외판에 올려놓았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그러나 수중영상에서 A중사는 직접 오른손으로 엄브리컬이 아닌 가이드라인을 잡으면서 식당을 거쳐 까페창문을 통해 나온 것으로 확인되어 수직상승했다고 보기 어렵고, DVR을 세월호 바깥, 즉 우현 현측 외판에 올려놓는 장면도 영상에 나타나지 않아 DVR을 안내데스크에서 가져오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해군이 수거했다고 하는 DVR, 해경이 마대자루에 보관하다가 검찰이 확보하게 된 DVR 다르다는 증거 의혹 제시

세월호 DVR 손잡이의 고무패킹 유무
해군이 수거한 DVR는 오른쪽 손잡이 안쪽 부분의 고무패킹이 떨어져 있으나 검찰이 확보한 DVR 고무패킹에는 그대로 붙어있다.


DVR 전면부 잠금 상태 및 잠금부위 훼손
해군이 수거란 DVR는 전면부의 열쇠구멍이 수직으로 잠금 상태로 확인되었으나 검찰이 확보한 DVR는 동일 열쇠구멍이 수평으로 잠금 해제 상태이고, 내부 잠금 걸쇠가 부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수중영상과 마대자루 촬영영상의 시간적 간격이 35분 정도에 불과하고 내부 잠금 걸쇠가 훼손될 만한 특별한 정황도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