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

IT 2018. 2. 3. 06:22
반응형
(1)청동기 시대의 전개와 생활
1.청동기 시대의 전개
기원전 20세기에서 15세기무렵 만주를 거쳐 기원전 10세기에는 한반도에서 청동기가 사용됨으로써 석기시대는 막을 내렸다.

청동기는 구리에 주석을 합금시킨 매우 단단한 금속인데,이 금속으로 도구를 만들었다.청동으로 만든무기·제기장신구 등의 사용에 따라 전반적인 사회 변화가 일어났다.

비파형 동검(요녕식 동검)은 손잡이와 날개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한 것으로 요서 지방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며 한반도 전역에서도 출토되었다.

청동기 사람들은 민무늬 토기를 만들었고 빗살무늬 토기인(고아시아족)을 흡수하여 새로운 주역으로 등장하였으며, 이들이 예맥족으로서 한민족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기원전 4-3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세형 동검을 제작하여 한국식의 청동기 문화를 이룩하게 되었다.

민무늬 토기는 대개 구릉 지대에서 발견되어 강가나 바닷가에서 주로 분포된 빗살무늬 토기와 달리 농경을 중심으로 정착 생활을 하였음을 알수 있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반달 돌칼, 간돌검, 거친무늬 거울,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널무덤, 독무덤 등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후반부터 청동기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는 고인돌(지석묘)과 다양한 주제의 바위그림이 나타나게 되었다. 또, 이 시기는 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하게 되었고, 사회도 군장 사회(Chiefdom Society)로 넘어가게 되었다.

2.청동기 시대의 사회와 문화
청동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강을 끼고 있는 야산이나 구릉 지대에 살았다. 청동기 시대는 발달된 석기와 다양한 청동기를 사용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농경 사회가 이룩되었다.

벼(쌀)·보리·수수·조·기장 등이 재배되어 생활환경이 유리하게 발전하였다. 농기구는 이전의 간석기보다 더욱 개량되어 이 시기부터 밭에 고랑을만들고 곡식을 심는 방법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벼농사는 청동기 시기에 벼의 전래와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유적등에서 불탄볍씨가 발견되었고 토기 바닥이나 몸통에 볍씨 자국이 있는 데에서 알수 있다.

한편, 청동기 시기의 집은 직사각형이나 원형의 반움집이었고 신석기 시대보다
훨씬 커 졌으며, 마을의 규모도 커 졌다. 집은 주춧돌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난방기술의 발달로 움집에서 지상가옥으로 바뀌어 갔다.가운데에 있던 화덕은 점차한 쪽 벽으로 옮겨졌고 음식이나 물건을 저장하는 저장구덩이도 따로 설치하였다.

식량의 생산활동이 발달되어 잉여생산물의 교역이 활발해져서 생활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재산과 계급이 발생되어 지배자(족장) 세력이 확대되어 군장 사회가 나타났다. 따라서 군장의 무덤뿐 아니라 경계표식으로 고인돌(Dolmen)과 선돌(Menhir)이 유행되어 족장의 힘을 과시하였다.

다양한 주제(사람, 고래 곰, 돼지, 물고기, 새)의 바위그림을 통해 수렵과 풍요를 기원하였고, 동시에 동심원, 별자리, 각종무늬를 나타냄으로서 고대인의 내세, 토템,희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청동기 시대의 경제적·정치적인 사회 변화는 밀집된 취락을 이루게 되었고, 잉여 생산물의 재분배와 물물 교역이 발생하였다. 게다가 다른지역과의 교역이 이루어지면서 사유재산과 계급이 발생하였다.이에 따라 초기 국가로 넘어가는 전단계로서 제정 일치 사회가 발달하였다.

3.군장 사회의 성립과 발전
청동기 사회는 사유재산과 계급발생하여 생산의 다양화와 잉여 생산물의 재분배에 따라 족장(군장)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여기서 지배와 피지배(복종)의 관계가 생기고 군장 사회(성읍국가읍락국가)가 성립되어 권력자(군장)를 중심으로 소규모의 국가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이때의 군장 사회는 방어에 유리한 야산 부근에 치소(정치 중심지)를 두고 토성 목책을 쌓았다.

이러한 군장사회는 초기 국가의 모습이었고 그것이보다 중앙 집권적인 형태로 발전하여갔다.그러나 당시의 군장은 세습된 지배자가 아니었고 폐쇄적인 혈연 사회로서 강력한 권한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군장사회는 초기 고조선시대에 역계경이나 이계상과 같은 부족장이 존재한것으로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동시에 부여의 부족장인 마가,우가 고구려 초기의 관나 환나 주나 등 나의 집단 부족장도 그러한 사례이다.

또한 옥저의 삼로나 동예의 후, 읍군, 삼한지방의 신지, 읍차 등 부족장이 다스리는 70여 개의 소국이 바로 군장사회의 모습이었다. 따라서 군장사회와 초기 국가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지배자를 중심으로 복합사회를 이루었다.기원전4세기 철기 사용에 따른 초기국가의 등장으로 군장 사회는 점차 소멸되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의 개요  (0) 2018.02.03
구글 애널리틱스.  (0) 2018.02.03
구석기,신석기 용어사전  (0) 2018.02.02
CPU-컴퓨터의 기본구성과 기능  (0) 2018.02.02
컴퓨터 기본구성- 입출력장치  (0)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