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만나 12.28 '위안부' 합의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위안부' 합의 수용을 요구하는 아베 총리에게 "정부 간 주고받기식 협상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그분들이 입은 마음의 상처가 아물 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위안부 합의가 해결되지 못했다는 (우리 정부의) 결정은 지난 정부의 합의 이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국민들이 합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위안부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계속하여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위안부' 합의에 대해 "위안부 합의는 국가 대 국가의 합의였다"며 "정권이 바뀌어도 지켜야 한다는 게 국제원칙"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12.28 '위안부' 합의로는 문제 해결이 불가하다고 밝힌 것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아베 총리는 "일본은 그 합의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약속을 지켜왔다"며 "한국 정부도 약속을 실현하기를 희망한다"고도 했다.

북한을 두고서도 양 정상은 상반된 입장을 보이면서 다소 싸늘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은 평창올림픽 기간 남북대화를 하면서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미소외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남북대화가 비핵화를 흐린다거나 국제공조를 흩뜨리는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또 "남북관계 개선과 대화가 결국 비핵화로 이어져야 한다"며 "이런 분위기를 살려나갈 수 있도록 일본도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주기를 바란다"는 당부를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동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균형외교’를 강조해 눈길을 끈다. 특히 한-미 정상회담을 코앞에 둔 미묘한 시점에 ‘한·미·일 3국 공조가 군사동맹화해선 안 된다’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국회 발언을 문 대통령이 재차 확인하면서, 발언의 배경과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미·일 군사동맹화 가능성을 일축한 것과 관련해 “(한·미·일 군사동맹은) 국민 정서상 용납할 수 없는 일로 여러차례 언급해온 일관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미 북핵·미사일 문제와 관련해선 한·미·일 간에 방어적인 군사훈련 등 협력을 하고 있으나, 이것이 동맹으로 발전하게 되면 (군사훈련을 위해) 사실상 일본군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계기가 마련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이 마음이 통하는 진정한 친구가 되길 진정으로 바란다"
"그간 수차례 밝혔듯 역사를 직시하면서 총리와 함께 지혜와 힘을 합쳐 양국 간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진하고자 한다"

"일본올림픽위원회(JOC)가 오늘(9일) 오후 8시 열리는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에 269명 선수단 중 97명만 참석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일인 9일 정상회담을 통해 평창올림픽으로 조성된 남북간 고위급 회담과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3국 공조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오후 강원 평창 용평블리스힐스테이 양자회담장에서 아베 총리는 "북한은 평창올림픽 기간 남북대화를 하면서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북한의 미소외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남북대화가 비핵화를 흐린다거나 국제공조를 흩뜨리는 것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며며 "남북관계 개선과 대화가 결국 비핵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런 분위기를 살려나갈 수 있도록 일본도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두 정상은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발표 2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 비전을 분명하게 보여줄 새로운 청사진을 본격적으로 마련해나간다는 데 합의했다.

김의겸 대변인은 "양국 정상은 지난해 합의했던 셔틀외교의 복원을 본격화하기 하기로 했다"며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이른 시일 내 일본에서 개최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